티스토리 뷰
소화기 제조일 확인 방법과 폐기 절차
소화기의 제조일 확인과 폐기는 화재 안전 유지와 환경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제조일을 확인하는 방법과 폐기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입니다.
1. 소화기 제조일 확인 방법
1.1 소화기 본체에서 제조일 확인
- 제조일 위치:
- 소화기 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 부분.
- 소화기 본체에 부착된 라벨(스티커) 또는 각인된 형태.
- 표시 형식:
- "제조일: YYYY.MM" 또는 "YYYY-MM-DD" 형식으로 표기.
1.2 소화기 점검표 확인
- 소화기에 부착된 점검표나 라벨에 제조일이 함께 기재된 경우도 있음.
1.3 없는 경우의 대처
- 제조일이 확인되지 않는 소화기의 경우:
- 소화기 제조사를 통해 모델명과 일련번호로 제조일을 조회 가능.
- 제조일 확인이 어렵다면 교체를 권장.
2. 소화기 폐기 절차
2.1 폐기 기준
- 제조일로부터 10년 이상 경과한 소화기는 안전을 위해 폐기.
- 손상, 부식, 성능 저하 등으로 인해 정상 작동이 어려운 경우 즉시 폐기.
2.2 폐기 절차
- 소화기 내부 약제 제거
- 소화기는 고압 상태이므로 함부로 버리면 위험합니다.
- 가까운 소방서나 소화기 전문 업체에 약제를 제거 및 처리를 의뢰.
- 소화기 분리 및 재활용
- 약제가 제거된 소화기의 금속 본체는 재활용 가능.
- 플라스틱 부품 등은 일반 폐기물로 처리.
- 폐기 기관 이용
- 소방서:
- 일부 소방서에서 소화기 무료 또는 유료 수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지자체:
- 지역 환경센터나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폐기.
- 소방서:
3. 소화기 폐기 비용
3.1 소방서 또는 지자체
- 무료 수거 가능 여부는 지자체 정책에 따라 다름.
- 일부 지역은 폐기물 처리 비용이 소액 청구될 수 있음.
3.2 전문 업체
- 소화기 처리 전문 업체에서는 약제 제거와 폐기까지 진행하며, 보통 5,000~10,000원/대 정도의 비용 발생.
4. 폐기 시 유의 사항
- 소화기 손상 금지
- 약제가 방출된 상태에서 폐기해야 하며, 본체 손상 금지.
- 고압 상태로 인해 폭발 위험 있음.
- 임의 방출 금지
- 소화약제를 임의로 방출하면 환경오염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전한 운송
- 폐기물 처리 장소로 운반 시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
5. 오래된 소화기 교체와 신규 설치
- 폐기 후 안전 인증을 받은 새로운 소화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 법적 기준:
- 특정소방대상물의 소화기 설치 기준에 따라 적정 수량과 위치에 배치.
관련 법령 및 자료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 소화기 폐기 및 교체 규정.
- 지자체별 폐기물 관리 규정: 소화기 폐기 절차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