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화재 유형에 따른 소화기 선택 기준

ⓐ┓∈№ⁿㄾㆃ 2024. 12. 10. 21:08

화재 유형에 따른 소화기 선택 기준

화재 유형은 불이 붙은 연료 물질에 따라 A, B, C, D, K급으로 분류됩니다. 각 화재에 적합한 소화기를 선택해야 화재 진압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1. 화재 유형별 분류

  • A급 화재:
    • 정의: 목재, 종이, 천, 플라스틱 등 고체 가연물 화재
    • 특성: 연소 시 재가 남고 물을 사용해 진압 가능
    • 권장 소화기: ABC형 분말 소화기, 물 소화기
  • B급 화재:
    • 정의: 기름, 가솔린, 페인트 등 액체 가연물 화재
    • 특성: 물로 진압 시 화재가 확산될 위험
    • 권장 소화기: ABC형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CO₂) 소화기
  • C급 화재:
    • 정의: 전기 설비에서 발생한 화재
    • 특성: 물 사용 금지, 전기 차단 필수
    • 권장 소화기: ABC형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CO₂) 소화기
  • D급 화재:
    • 정의: 알루미늄, 마그네슘, 나트륨 등 금속 화재
    • 특성: 높은 온도로 연소, 물 사용 시 폭발 가능
    • 권장 소화기: 금속 전용 소화기(특수 분말 사용)
  • K급 화재:
    • 정의: 식용유, 동물성 지방 등 주방 기름 화재
    • 특성: 고온에서 연소, 물 사용 시 기름 튐 현상 발생
    • 권장 소화기: K급 소화기(비누화 작용)

2. 소화기 선택 기준

  • 1) 화재 위험 요인 분석:
    건물이나 공간에서 예상되는 화재 유형을 파악합니다.
    • 가정: A, B, C급 화재
    • 주방: K급 화재
    • 공장(금속 작업): D급 화재
  • 2) 화재 범용성 고려:
    다목적 사용을 원한다면 ABC형 소화기를 기본적으로 선택합니다.
  • 3) 특수 환경 고려:
    특정 화재 위험이 높은 곳에서는 해당 화재에 특화된 소화기를 준비합니다.
    • 예: 주방에는 K급 소화기, 전기실에는 이산화탄소 소화기
  • 4) 법적 기준 준수:
    국내 소방 기준에 따라 적절한 소화기를 비치합니다.
    • 소화기 설치는 화재안전기준(NFSC)에 따릅니다.

3. 공간별 소화기 배치 예시

공간예상 화재 유형추천 소화기

가정 A, B, C급 ABC형 분말 소화기
주방 K급 K급 소화기
사무실 A, C급 ABC형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주유소 B급 이산화탄소 소화기
공장(금속 작업) D급 금속 전용 소화기

4. 소화기 성능표 확인

소화기를 구매할 때는 KFI(한국소방산업기술원) 인증을 확인하고, 성능표에서 적합한 화재 유형(A, B, C 등급)이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결론

화재 유형에 따라 적합한 소화기를 선택하면 화재 진압 속도와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다목적 용도로 ABC형 소화기를 기본적으로 비치하고, 특정 위험에 대해 추가 소화기를 구비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