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장비와 소방용수시설 소방력 소방력이란 소방활동에 필요한 인적과 물적을 포함한 것을 의미하며, 소방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의 3요소는 소방인력, 소방장비, 소방용수이며, 이것을 소방력이라고 한다. (1) 소방력의 기준 등 ⓐ소방기관이 소방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등에 관한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시 도지사는 소방력의 기준에 따라 관할구역의 소방력을 확충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소방자동차 등 소방장비의 분류, 표준화와 그 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따로 법률에서 정한다. 용어정리 1. 소방기관 : 소방장비 및 인력등을 동원하여 소방업무를 수행하는 소방서, 119안전센터, 119구조대, 119구급대, 119구조구급..

소방기본법의 목적 (1) 화재를 예방, 경계, 진압 (2) 화재, 재난,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 구급 활동 (3)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 (4) 궁극적인 목적은 공공의 안녕 및 질서 유지와 복기증진에 이바지함이다. 헌법적 측면에서 기본권제한의 정당화 근거 소방기본법은 화재의 예방, 경계나 진압, 화재, 재난,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 구급활동 등에 관해 규정한 행정법으로 헌법상의 기본법인 생명권 및 신체의 자유 그릭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다. 용어의 정리 (1) 소방대상물 건축물, 차량, 선박(선박법 제1조의2 제1항의 규정ㅇ ㅔ따르 ㄴ석박으로서 항구 안에 매어둔 선박에 한한다), 선박 건조 구조물, 산림 그 밖의 인공 구조물 또는 물건을 말한다.(법 제2조 제1..

소방시설 소방시설이란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구조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이다. 1. 소화설비 소화설비는 물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소방기계 기구 또는 설비이다. ⓐ소화기구(소화기, 간이소화용구, 자동확산소화기) ⓑ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들소화설비 2. 경보설비 경보설비는 화재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소방기계 기구 또는 설비이다. ⓐ비상벨설비 및 자동식사이렌설비 ⓑ단독경보형감지기 ⓒ비상방송설비 ⓓ누전경보기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자동화재속보설비 ⓖ가스누설경보기 ⓗ통합감시시설 3. 피난구조설비 피난구조설비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난하기 위하여 사용하기는 기구 또는 설비이다. ⓐ피난기구(피난사다리, 구조대, 완강기, 그 밖에 법 제 9조 제..

소화기의 설치기준 1. 각 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 20m 이내, 대형 소화기의 경우 30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한다. 다만, 가연성물질이 없는 작업장의 경우에는 작업장의 실정에 맞게 보행거리를 완화하여 배치할 수 있다. 2. 특정소방대상물의 각층이 2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1.의 규정에 따라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면적이 33제곱미터 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에도 배치한다. 3. 능력단위가 2단위 이상이 되도록 전체 능력단위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아니하게 한다. 다만, 노유자시설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특정소방대상물 소화기구의 능력단위 1. 위락시설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30㎡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2.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