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전기차 보급이 증가하면서 전기차 충전·주차구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대응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 화재와는 성격이 다르며, 배터리 열폭주로 인해 진화가 어렵고 유독가스 및 2차 화재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이에 따라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에서 발간한 「전기차 충전·주차구역 화재예방 및 대응 매뉴얼」**은 전기차 화재 발생 시 건물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단계별 행동 요령을 제시하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전기차 화재 발생 시 건물 관리자가 수행해야 할 화재 인지 단계, 피난 대응(1단계), 초기 진화(2단계) 등 단계별 조치 사항을 상세히 설명한다. 2. 화재 인지 등 확인 단계전기차 화재 발생 초기에는 신속한 화재 인지와 신고가 가장 중..
1. 서론화재 안전은 건축 설계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기존의 획일적인 소방 기준을 넘어 건축물의 특성과 화재 위험성을 반영한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전통적인 소방설계는 법규에서 정한 표준 기준을 따르지만, 대형 건축물이나 복합시설의 경우 일반적인 기준만으로는 충분한 안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공학적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맞춤형 화재 안전 대책을 수립하는 성능위주설계가 필수적으로 도입되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성능위주설계의 정의와 주요 설계 요소, 적용 대상 및 시점, 그리고 건축물 증축 시 적용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 2. 성능위주설계란?2.1 소방시설법에서 정의하는 성능위주설계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
1. 서론건축물의 안전은 단순한 법적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넘어, 실제 화재 발생 시 최적의 대응이 가능한 설계를 통해 보장되어야 한다. 특히, 초고층 건물이나 대형 복합시설과 같은 특정소방대상물은 화재 확산 속도가 빠르고 대피가 어려운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소방 기준만으로는 충분한 안전을 확보하기 어렵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가 도입되었다. 성능위주설계는 건축물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화재안전 대책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건축물에는 반드시 적용해야 한다.본 글에서는 성능위주설계가 적용되는 대상 기준을 면적, 층수, 용도별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화재안전 설계가 필요한 건축물을 명..
1. 서론화재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획일적인 소방설계에서 벗어나 건축물의 특성과 위험성을 고려한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가 중요해지고 있다. 성능위주설계는 과학적 분석과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축물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법규 기반 설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그러나 성능위주설계가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공정한 검토와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이 구성되며, 각 소방본부는 소방공무원, 건축사, 소방기술사, 교수 등 다양한 전문가를 위촉하여 성능위주설계안을 심의하고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원의 위촉 기준, 제척·기피·회피 규정, 그리고 해임 및 해촉 조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