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연설비에 사용하는 자동차압 급기댐퍼 성능인증 자동 차압 급기댐퍼의 역할 가. 제연구역의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합니다. 자동 차압 급기댐퍼는 제연구역에 신선한 공기를 불어넣어주는 역할을 하는 급기댐퍼입니다.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에 피난을 위해 실내와 연결된 출입문이 열리는 경우 연기가 따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연풍속(0.5m/s ~ 0.7m/s)을 발생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양의 바람을 공급합니다. 그리고 개방되었던 출입문이 닫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보충하던 바람의 양을 감소시켜 부속실 내부의 압력을 실내의 압력과 비교했을 때 40Pa 이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결국 부속실 내부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댐퍼를 말합니다. 이 댐퍼의 생명은 출입문이 열렸을 때 곧바로 충분한 양의 공기를 불어넣어..

수소차(넥쏘 등) 위험할까? 수소전기차라고 부르는 이유 우리가 수소차라고 부르는 수소전기차도 사실은 전기차의 한 종류입니다. 현재 상용화된 전기차는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인데, 수소전기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는 수소 연료탱크와 배터리가 함께 있는 전기차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연료전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킵니다. 사실 두 차량 모두 엔진이 필요 없고, 공해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차량입니다. 두 차량의 차이는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전기차는 전기를 외부에서 충전하여 전기를 저장하고, 수소전기차는 연료로 수소를 사용해서 연료전지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품을 살펴보면 ① 수소탱크 수소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

초고층 건축물의 제연설비와 화재실 단독제연방식의 문제점 단독제연방식이란? 단독제연방식이란 공기의 유입구와 연기의 배출구가 하나의 실에 설치되는 방식을 말합니다. 제연구역이 소규모의 실인 경우에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제연구역이 백화점의 영업장처럼 공간이 넓고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을 사용하지만, 건물이 작은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곳은 단독제연방식을 사용합니다. 초고층 건축물의 실내 특징 초고층 건축물은 높이 지어야 하는 특성상 위로 올라갈수록 면적이 조금씩 작아지는 특성을 가집니다. 그래서 각 층별로 바닥 면적이 넓지 않습니다. 즉, 소규모의 실로 구획되는 특성을 가집니다.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초고층 건축물은 세대별로 구획되고, 일반 사무용 건물은 회사별 그리고 부서..

성능위주설계 대상 확대 필요성 성능위주설계란? 건물은 갈수록 고층화, 지하화, 대형화, 특수화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소방관련 법령과 화재안전기준 만을 가지고 설계를 하는 경우 안전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특수한 대상물이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사회의 변화와 건축물의 다양화를 법으로 일일이 규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래서 법규 중심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설계에 유연성을 부여하고자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하여 화재 성상과 열, 연기의 유동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더 합리적인 소방시스템과 피난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설계를 성능위주설계라고 합니다. 법령에 의해 성능위주설계를 해야 하는 대상 ① 연면적 20만㎡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다만, 공동주택 중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