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계 소화설비 작동시험시 체크 사항 설계도면과 현장 시공 상태 비교 가. 개구부 및 창문 상태 가스계 소화설비 현장에는 설계도면을 필수적으로 지참해야 합니다. 설계도면에서의 조건과 현장 시공 조건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화약제량 및 Soaking Time을 계산할 때 적용했던 조건들이 변하면 소화효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설계에는 없던 개구부나 통기구가 있는지, 배관이 통과하는 부분에 내화구조의 충전물이 제대로 채워지지 않았는지, 벽체가 완전 접합되지 않고 틈이 있는 곳은 없는지, 창문이 소화약제의 압력에 깨지기 쉬운 것은 아닌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도어팬 테스트 이후에 변화된 사항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나. 토너먼트 배관 및 헤드 설치의 적정성 가스계 소화설비의 배..

시간경보장치란? 시각경보장치 설치 위치 시각경보장치 설치 위치 시각경보장치가 어떤 것인지 어떻게 설치하는지, 마지막으로 어떤 곳에도 필요한 지 알아보겠습니다. 시각경보장치(Strobe)란 Strobe라고 부르는 시각경보장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 분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경종과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로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설비입니다.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경종의 소리를 들을 수 없으므로 시각적인 점멸효과를 통해 화재 사실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아닌 일반인의 경우에도 청각적인 소리만을 가지고는 반응이 늦어진다는 것에 착안하여 시각적으로도 효과를 줌으로서 빨리 대피해야 한다는 경각심이 들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대부분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종 윗부분 또는 옥내소화..

소방시설 완공검사 제도 개선의 필요성 완공검사와 관련한 문제점 가. 현장 소방감리원의 인적 구성의 문제 상주감리를 하는 현장이라 하더라도 책임감리원 1명과 보조감리원 1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소방기술사가 감리를 해야 하는 대단위 공장과 같은 경우에는 보조감리원이 20만 제곱미터를 넘는 10만 제곱미터마다 1명씩 추가로 선임되기는 하지만 이러한 현장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책임감리원 1명과 보조감리원 1명이다. 2명이 신축 건물의 소방공사 현장을 감리하면서 완공된 소방시설에 대한 성능시험을 통해 감리결과서를 작성합니다. 제연설비나 가스계 소화설비의 경우 2명만으로는 성능시험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물론 감리업체에서 성능시험을 할 때 인원을 추가 파견해 주기도 하지만, 감리업체의 사정..

가스계 소화설비의 기동용 가스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이유 가스계 소화설비의 기동용 가스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기동용 가스로 사용했을 때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기동용기의 중요성 가. 가스계 소화설비 작동의 중요한 단추 역할 가스계 소화설비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감지기가 교차회로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는 방법과, 사람이 화재를 발견하고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봉판이 개방되어야 소화약제가 배관을 따라 방호구역에 이송되는데 그 이전 단계가 바로 기동용기의 작동입니다. 기동용기가 작동을 해서 기동용기에 저장된 가스 압력으로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봉판을 개방시키는 것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