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 별도 설치 이유 현행법에서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을 별도로 설치하고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행 규정상 제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 제4조(소화약제의 저장용기 등)을 보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방호구역 외의 장소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단서에서는 방호구역 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 부근에 설치하게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장용기는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 용기의 설치장소에는 해당 용기가 설치된 곳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설치하도록 하였습니다. 이 규정을 종합해보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아무데나 비치하지 말고 별도의 저장용기 실을 만들어 보호하라는 의미로..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 설치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을 꼭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지, 혹시 문제점은 없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을 별도 구성할 때 단점 가. 별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합니다. 건축주 입장에서는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 실을 별도로 구성해야 하므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하나가 없어지게 됩니다. 방호구역 내에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비치한다면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습니다. 그런데 화재안전기준에서 방호구역 외의 장소에 방화문으로 구획하라고 하였으니 원칙대로 별도의 소화약제 저장용기 실을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나. 배관의 길이가 길어진다. 방호구역이 한 곳에 모두 모여 있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별도의 소화약제 저장용기 실이 지하에 위치하거나 건물의 용도에 ..

가스계 소화설비 방출 시간 제한 가스계 소화설비에서 소화약제의 방출 시간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가스계 소화약제의 방출시간은 대부분 짧습니다. 최소 10초에서 아무리 길어야 7분입니다. 대부분 10초 또는 30초에서 설계농도의 95%에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하고 있습니다다.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얼마나 빨리 방출되어야 할까?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전역방출방식에 있어 표면화재는 1분, 심부화재는 7분 이내에 방사되어야 합니다. 또한, 심부화재에서는 설계농도가 2분 이내에 30%에 도달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국소방출방식의 경우에는 30초 이내에 소요량이 방사되어야 합니다. ② 할론소화설비는 전역방출방식 및 국소방출방식 모두 기준저장량의 소화약제를 1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

제연설비 외기취입구 설치 위치 제연설비에서 공기 유입을 위해 외기취입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여야 하는 특성상 외기 취입구를 어디에 설치하느냐에 따라 성공과 실패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외기취입구의 설치위치는 중요합니다. 제연설비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역할과 유입구 위치 가. 제연구역에 압력을 불어넣어 차압을 형성합니다. 화재가 발생하는 건물 내부는 연기로 가득 차게 됩니다. 그래서 제연설비에서는 연기를 배출하는 설비를 만들어 실내의 연기를 빼내야 합니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대피하는 사람들이 호흡할 수 있도록 신선한 공기를 불어넣어 주는 것입니다. 특히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과 계단실,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거실에 대해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