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연설비 TAB 고려 사항제연설비 TAB 고려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과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된 제연설비는 그만큼 챙겨야 할 분야가 많습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직접 거주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제연설비 TAB 고려 사항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승강장에서 계단실로 이어지는 방화문의 폐쇄 상태 확인 가. 제연구역의 출입문 및 창문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에 설치하는 제연설비에서 제연구역의 출입문(창문을 포함 한다)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여야 합니다. 아파트인 경우 제연구역과 계단실 사이의 출입문은 자동폐쇄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여야 합니다. 부속실과 승강장을 겸하는 부..

아파트 제연설비 TAB 고려 사항 아파트 제연설비 TAB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에 설치된 제연설비에 대해 TAB 하는 경우 화재안전기준에 있는 사항을 위주로 점검합니다. 하지만 아파트에 설치되는 제연설비 뿐만아니라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 제연설비를 TAB 할 때 놓쳐서는 안되는 부분이 있으니 하나씩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다른 층에서도 기준 차압의 70% 이상의 차압 유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제6조(차압 등) 제3항의 규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지 않는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차압은 기준 차압의 70%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즉 11층 재실자가 피난을 위해 출입문을 열게 되더라도 10..

유류방화 판단 증거 유류를 사용한 방화라는 판단 증거에 대해 알아보자. 화재 현장에서 이거 방화 아냐? 화재 현장에서 뭔가 꺼림직한 상황에 직면하면 느낄 수 있는 것. 왠지 현장에서 유류를 이용한 방화라는 합리적 의심이 들 때 유류를 이용한 방화인지 아닌지 판단의 근거로 삼아볼 수 있는 사실들을 살펴본다. 유류화재 흔적 가. 유류 냄새가 납니다. 소방대에 의해 화재가 진압된 후에도 어디선가 유류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다. 실내에서 유류를 사용하는 기기가 있었다면 모를까 유류 냄새가 날 이유가 없습니다. 다만, 화재진압을 위해 소방대가 현장에서 화재진압이나 동력절단기 등에 필요한 기구에 유류를 공급했다면 상황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는 흔치 않다. 현장에서 유류 냄새가 난다면 방화를 의심..

방화범 판단 정황 근거 손에 생긴 화상 흔적 유류를 뿌려서 불을 붙이면 자신도 모르게 손이나 장갑에 유류가 묻습니다. 그런 줄도 모르고 라이터나 인화성 기구를 통해 불을 붙이면 손이나 장갑에 묻은 유류에 의해 같이 불이 붙습니다. 붙은 불을 얼른 끄려고 하겠지만 유류의 특성상 쉽게 꺼지지 않습니다. 한번 유증기에 불이 붙으면 계속 기화하면서 화염이 확산되기 때문입니다. 비록 장갑에 붙은 불을 껐다 하더라도 화상을 입게 된다. 이런 화상 흔적은 자신이 방화범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일반 거주자가 화재 현장을 빠져나오다가 뜨거운 것을 잡거나 만져서 화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것만 구분하면 방화범이라는 정황증거가 나오는 셈입니다. 옷이나 머리카락의 그을림 화재 현장에서 대피한 사람은 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