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iling Zet Flow의 형성 가. Fire Plume의 발생 가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의 열기에 의해 자체에서 부력이 발생하여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Fire Plume 또는 화염기둥이라고 부른다. Fire Plume에는 실제 화염이 있는 부분과 화염은 없지만 상승 열기류가 존재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나. 천장을 따라 흐르는 Ceiling Zet Flow 형성 수직방향으로 Fire Plume이 상승하다가 지붕이나 천장과 같은 곳에 의해 상승의 제한을 받게 되면, 열기류는 수평으로 굴절되어 천장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고온의 열기류는 천장류 또는 천장 열기류 흐름(Ceiling Zet Flow)이라고 부르며, 천장 아래로 약 30cm 이내로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폐쇄형..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가.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라는 의미가 무엇을 말하는지를 알기 위해서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제3조(정의) 제30호를 살펴보자.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란 각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컨베이어ㆍ에스컬레이터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의 주위로서 방화구획을 할 수 없는 부분을 말한다. 나.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의 특징 ① 방화구획으로 구획된 곳에 설치된 개구부를 말한다. ② 필요에 의해 개구부를 설치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③ 개구부가 있어서 연소 확대의 우려가 있는 장소이다. 다. 방화구획의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조치 원칙적으로는 방화구획에 개구부를 설치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개구부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상향식 헤드를 설치 하는 설비 가.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외의 설비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와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가 아닌 설비는 상향식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라는 의미이다. 결국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와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를 말하고 있다.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므로 이 규정이 의미가 없다. 나. 2차측 배관에 평상시 소화수의 존재 여부가 관건 습식과 부압식의 경우에는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도 소화수가 충만되어 있다. 건식과 준비작동식에서는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소화수가 채워지지 않고 공기가 충만된다.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소화수가 상시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은 어떤 차이가 발생 할까? 건식과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특징 가. 평상시..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 가. 수계소화설비에는 소화수가 필요 스프링클러설비를 비롯한 수계소화설비는 물이 있어야 그 존재가치가 있는 것이다. 옥내소화전설비나 스프링클러설비는 물이 없으면 소화설비가 있더라도 화재진압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건물 내부에 소화수조를 설치하여 최소 20분 이상 소화활동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나. 송수구 설치 필요성 이는 화재가 발생하여 스프링클러설비가 작동한 이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수조의 물이 결국에는 고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소화수조의 물이 모두 소비되었을 때에는 도착한 소방차량으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필요한 설비가 송수구인 것이다. 송수구는 소방대원이 활용한다. 가. 송수구 설치 위치 ① 스프링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