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수는 유수검지장치를 거치도록 해야 한다. 가.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페쇄형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헤드에 공급되는 물은 유수검지장치를 지나도록 하고 있다. 헤드가 열에 의해 개방되거나 감지기로부터 화재가 인식되었을 때 유수검지장치가 개방되기 때문이다. 화재가 아닌 경우 임에도 유수검지장치 2차측 헤드로 소화수가 전달되면 겨울철 동파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나. 개방형 스프링클러설비 ① 개방형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에도 비록 명시된 규정은 없지만 당연히 일제개방밸브를 거쳐서 헤드로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개방형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이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이 없는 이유는 당연한 말이기 때문이다. ② 일제개방밸브 2차측에 연결된 헤드는 상시 개방되어 있어서 물이 전달되면 곧바로 방수되기 때문이다. 감지기..

스프링클러설비 전원 정의 스프링클러설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예비전원 가. 상용전원(Normal Power)과 비상전원(Emergency Power) ① 스프링클러설비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다. 상용전원은 수전방식에 따라 저압, 고압, 특고압의 수전방식으로 구분된다. ② 상용전원이 사고 또는 정전으로 인해 차단되는 경우를 대비해 비상전원을 설치한다. 비상전원으로 사용 가능한 설비로는 자가발전기,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비상전원수전설비가 있다. 나.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의 종류 ① 스프링클러설비의 비상전원으로는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설치한 경우에는 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축전지를 말한다),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

수전방식에 따른 구분 가. 비상콘센트설비 소방시설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저압, 고압, 특고압에 대한 사항은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4) 1.7 용어의 정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나. 기존에 적용하던 기준 기존의 경우 저압은 직류는 750V 이하, 교류는 600V 이하인 것을 말하였고, 고압이란 직류는 750V를, 교류는 600V 초과 ~ 7kV 이하인 것, 특고압이란 7kV를 초과하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2017. 7. 26일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에서 저압, 고압, 특고압의 범위가 개정되었다. 다. 저압, 고압, 특고압의 구분 ① "저압"이란 직류는 1.5㎸ 이하, 교류는 1㎸ 이하인 것을 말한다. 전신주에 설치된 변압기에서 일반 가정 또는 전력량이 적은 ..

스프링클러설비용 비상전원과 예비전원 가. 비상전원 한전에서 제공되는 상용전원이 정전 또는 차단 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건물 자체에서 스프링클러설비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한 전원 설비를 말한다. 스프링클러설비를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을 가져야 하는데, 사실은 스프링클러설비를 포함하여 소방부하 전체를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나. 예비전원과의 비교 ① 비상전원은 정전 또는 화재시 상용전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소방부하 전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도 공급된다. ② 예비전원은 스프링클러설비 중에서도 감시제어반에 한정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감시제어반 내부에 24V 축전지로 내장되어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