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의 급수배관 또는 밸브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면적 가. 하나의 급수배관이 담당할 수 있는 최대면적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의 별표 1을 참고해 보자. 별표 1은 스프링클러 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을 규약배관 방식으로 정하고 있는 표이다. 해당 표의 아래 (주) 1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 한 개 층에 하나의 급수배관(또는 밸브 등)이 담당하는 구역의 최대면적은 3,000제곱미터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나. 하나의 최대 방호구역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일반적인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의 최대면적은 3,000㎡ 이하이다. 격자형 배관방식의 경우에만 하나의 방호구역의 면적을 최대 3,700㎡ 이하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대부분..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 5개의 의미 건물의 전체적인 규모가 커서 하나의 층에 다수의 방호구역이 존재하는 경우나 라인별로 구획된 건물은 다수의 수직배관이 올라가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의 송수구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괄호 안에 별도의 제한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송수구의 수가 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는 규정이다. 5개로 한다는 의미가 무슨 뜻인지 살펴보자. 옥내소화전설비 규정과의 차이점 가. 옥내소화전설비에서의 규정 ① 옥내소화전설비에서 수원의 저수량을 산정할 때 유사한 내용의 규정이 나온다. 두 개 이상 설치된 경우는 두 개라는 규정이다. ‘두 개’라는 의미는 하나의 층에 다수의 옥내소화전이 존재하더라도 수원의 양을 산정할 때는 두 ..

개방형 헤드와 방수구역의 특성 가. 개방형 헤드 특성 ① 폐쇄형 헤드는 열에 의해 헤드가 감지가 되어야만 개방되고 방수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화염이 어느정도 형성되고 옆으로 전파되어야 Fire Plume이나 Ceiling Zet Flow에 의해 헤드가 감열되는 특성이 있다. ② 개방형 헤드는 화염이 아직 전파되지 않았어도 연기에 의해 감지기가 작동하면 하나의 방수구역 전체에서 일시에 방수되는 특징을 갖는다. 나. 일부분 구역에 한하여 개방형 헤드가 설치 개방형 헤드는 모든 층 전체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일정 규모의 무대부 부분,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등에 설치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개방형 헤드의 개수는 최소 25개 이상 최대 50개 이하이다. 이렇게 나누는 이유는 ..

개폐밸브의 설치 여부 가. 옥내소화전설비의 급수배관 특징 옥내소화전설비의 송수구는 주배관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모든 수직배관에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수직배관이 설치되었더라도, 그중 어느 층의 하나 둘 정도의 방수구가 개방되더라도 폐쇄형 습식 배관이므로 동일한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폐쇄된 상태로 운영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고 아예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나. 스프링클러설비는 개페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의 발생 헤드에 이르는 물은 유수검지장치를 지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송수구에서 공급되는 물은 유수검지장치를 지나지 않고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으로 직접 연결하여도 된다. 유수검지장치가 고장나거나 화재감지기 회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을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