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설치 기준 비상전원의 설치 장소 가. 점검에 편리한 장소 비상전원의 특성상 평상시 관계인이 출입하지는 않는다. 상용전원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비로소 심각성을 알고 출입하게 된다. 관계인이 비상전원이 설치된 장소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야 하고, 출입 동선 또한 어렵지 않아야 한다. 비상전원의 점검과 수리․교체 등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 되어야 한다. 나. 화재 및 침수 등 재해로 인한 피해 우려가 없는 곳 화재시 방수된 물이 아래로 흘러서 모이는 곳에 비상전원을 설치하여서는 안된다. 화재로 인해 방수되는 물이나 폭우에 의해 침수되는 물이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서는 안된다. 비상전원을 건물의 가장 최저층에 설치하면 침수된 물에 의해 작동이 중지되므로 최저층이 아닌 곳에 ..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의 종류 가.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설비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자가발전설비(Emergency Generator), 축전지설비(Battery.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설치한 경우에는 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축전지를 말한다) 또는 전기저장장치(ESS. 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이다. 나. 비상전원수전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도 비상전원에 해당한다. 다만, 비상전원수전설비는 사실 상용전원을 활용하는 설비이다. 비상전원수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대상은 차고·주차장으로서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부분의 바닥면적(「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5)」의 2.10.2.2에 ..

동력제어반이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가. 앞면 적색 ① 기계실이나 전기실에 설치되는 동력제어반은 외함의 앞면을 적색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소규모의 건물에서는 설치되는 동력제어반의 숫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쇼핑센터나 고층건물에서는 설치해야 할 각종 설비의 동력제어반 숫자가 생각보다 많다. ② 이 경우 긴급하게 가압송수장치를 작동시켜야 할 상황이라면 수 많은 동력제어반 중에 스프링클러설비용 동력제어반을 찾아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긴급상황에서는 건물의 관계자도 당황하여 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을 찾는 것이 쉽지 않고, 소방대원 역시 처음 가보는 곳에서 동력제어반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 ③ 스프링클러설비 뿐만 아니라 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의 외함 색상을 적색으로 ..
송배전식 방식과 교차회로 방식 가. 송배전식 방식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감지기 회로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송배전식 구성 방법이고 또 하나는 교차회로 방식이다. 송배전식 방법은 하나의 경계구역에 하나의 회로를 설치하고 그 회로에 모든 감지기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즉 해당 경계구역에 설치된 감지기중 아무거나 하나의 감지기가 화재를 인지하면 작동하는 방식이다. 나. 교차회로 방식 교차회로 방식은 하나의 경계구역에 두 개의 감지기 회로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두 개의 회로를 엇갈리게 교차 설치하여 각각의 회로에 설치된 인접한 두 개의 감지기들이 모두 작동했을 때 이를 화재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회로에 있는 감지기가 작동하면 예비 동작신호로 인식하고 다른 하나의 회로에 설치된 감지기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