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클러설비에서는 배관에 행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행거는 배관을 벽이나 천장에 매달아서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입니다. 행거(Hanger)를 현장에서는 편의상 행가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행거를 설치하는 이유 가. 배관 자체 하중을 지지 방호구역 또는 방수구역에 설치되는 배관은 대부분 천장을 통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그 자체의 중량과 내부 충만된 소화수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배관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벽이나 천장에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 행거를 설치하는 주목적입니다. 나. 수격 현상(Water Hammering)에 대비 스프링클러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인 펌프가 기동하거나 정지할 때 발생하는 수격 현상(Water Hammerin..

주배관의 구경(mm) 주배관의 구경을 구하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규격을 이미 정해놓은 방법, 즉 규약배관에 따른 구경을 정하는 방법과 수리계산에 따라 구경을 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규약배관 방식으로 구경을 구하는 기준 가. 규약배관 구경 기준표 나. 규약배관에 따른 기준표를 적용하는 방법 ①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로서 한 개 층에 하나의 급수배관(또는 밸브 등)이 담당하는 구역의 최대면적은 3,000제곱미터를 초과하지 않을 것 ②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란의 헤드 수에 따를 것. 다만, 100개 이상의 헤드를 담당하는 급수배관(또는 밸브)의 구경을 100밀리미터로 할 경우에는 수리계산을 통하여 제8조 제3항에서 규정한 배관의 유속..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에 갈음한다. 가. 스프링클러설비용 화재감지장치로 갈음 ① 일정 용도 및 규모를 가진 특정소방대상물은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스프링클러도 병행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방호구역 또는 방수구역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설치하는 화재감지기와 스프링클러설비용 화재감지장치로 설치하는 화재감지기를 이중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② 이런 경우에는 스프링클러용 화재감지장치로 설치하는 화재감지기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로 갈음 처리합니다. 이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에서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나. 하나의 경계구역에 대한 면적 제한이 확대 적용됩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

스프링클러 헤드의 수평거리 가. 수평거리(r값)란 방호구역에 설치하여야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수를 구하고자 할 때 r값이라고 부르는 수평거리가 등장합니다. 수평거리란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천장·반자·천장과 반자 사이·덕트·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거리를 수평거리라 합니다. 나. 헤드의 유효한 살수범위입니다. 수평거리는 다른 의미로 해석하면 스프링클러 헤드가 가지는 유효한 살수범위를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평거리가 큰 것(r=3.2m)일수록 살수범위가 넓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살수밀도가 작아진다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수평거리가 작아진다(r=1.7m)는 것은 더 조밀하게 방수가 될 것이고 그만큼 살수밀도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 헤드의 개수를 설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