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대부 및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장소 가. 무대부나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곳은 “다”란 헤드 수 적용 2.7.3.1의 경우로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설비의 배관구경은 "다"란에 따르도록 하고 있습니다. 2.7.3.1의 경우란 무대부 및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를 말합니다. 나. 연소확대가 빠를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서의 충분한 소화수량 확보 이러한 장소는 천장이 높고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확대가 빠를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입니다. 또한 헤드와 방호구역과의 수평거리(r 값)가 1.7m로서 헤드간 거리도 최대 2.4m 이하로 적용되는 곳입니다. 그러므로 화재시 다수의 헤드가 개방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충분한 방수량으로서 화세제어를 위해 급수배관의 구경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입니다. 무대..

시험장치 설치 위치 가.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설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는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연결하여 설치합니다. 시험장치의 설치 위치는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이라고만 규정하고 있고, 더 이상 설치 위치를 특별하게 한정하고 있지는 않고 있습니다. 나. 2차측 배관이 가압수 또는 부압수로 채워져 있다.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는 유수검지장치의 2차측 배관이 소화수로 채워져 있습니다.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알람밸브 2차측 배관에는 가압수가 충만되어 있고,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프리액션밸브 2차측 배관에는 음압의 부압수가 채워져 있습니다. 설치장소의 제한과 관련된 규정의 변화 가. 공기 흡입에 따른 배관의 부식 우려 많은 건물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의 설치 목적 가. 시험장치 설치 목적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를 설치하는 목적은 헤드가 개방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보기 위해서입니다. 헤드가 개방되면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시간, 유수검지장치의 정상적 개방 여부, 경보의 작동, 가압송수장치의 정상 기동 여부를 점검하려는 것이 목적입니다. 결국 스프링클러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점검하는 것입니다. 나. 헤드가 개방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 설정 ① 건식 프링클러에서 가지배관의 헤드가 개방되면 제일 먼저 건식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충만되어 있던 압축공기가 개방된 헤드를 통해 빠져나가야 합니다. 화재 발생 초기에는 폐쇄형 헤드 하나 또는 두 개가 개방될 것이므로 시험장치를 개방해서 헤드 하나가 개방된 효과를 설..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과 헤드 가.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은 25mm 이상이어야 한다. 시험장치에 사용되는 배관의 구경은 25mm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그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이 25mm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헤드 하나 또는 두 개를 담당하는 말단 가지배관의 구경이 최소 25mm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헤드 하나가 개방되는 효과를 주기 위해 말단 가지배관의 구경과 동일한 25mm 이상이 되는 배관 구경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 것입니다. 나. 시험장치 끝에 설치하는 헤드 또는 오리피스 시험장치 말단에는 끝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거나 스프링클러헤드와 동등한 방수성능을 가진 오리피스를 설치합니다. 이 경우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반사판 및 프레임을 제거한 오리피스만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