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구획 방화구획이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로의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000제곱미터를 넘는 경우 건축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가 상층, 인접 등으로 더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내화구조로 된 바닥과 벽, 방화문, 방화셔터, 관통부에 대한 내화충전제 등을 사용하여 층별, 면적별, 용도별로 상호간 구획하는 것 용도별 구획 건축관련 법령에서 용도별 방화구획을 적용하는 곳 가. 대피공간 (아파트) - 공동주택 중 아파트로서 4층 이상인 층의 각 세대가 2개 이상의 직통계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발코니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나. 피난 계단 및 특별피난계단 -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다. 피난용, 비상용 승강기 -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승강로 -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 승강로, ..
실내 불법구획을 하게되면 소방시설에 미치는 영향 건축설계는 소방 설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층에 따라 그리고 각 층의 구획에 따라 소방시설을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그런데 건물을 건축하는 과정에서는 설계에 없는 별도의 구획을 하지 않지만, 사용승인이 이루어지고 나면 실제 사용할 사용자의 편리에 의해 설계에 없던 구획이 이루어지곤 한다. 건축 설계와 다른 공간의 구획은 소방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지기의 교차회로 방식을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옥내소화전설비의 사각지역 발생 가. 옥내소화전 설치 수평거리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7조(함 및 방수구) 제2항을 살펴보면 옥내소화전의 방수구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게 하고 있다. 또한 해당..

랙크식 창고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및 헤드 다음과 같은 랙크식 창고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헤드는 정방형으로 배치하고자 한다. 이 랙크식 상고에 설정해야 하는 방호구역의 수와, 방호구역 산정에 적용할 바닥면적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최소 방호구역의 수 가. 방호구역을 설정하는 기준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곳에서 하나의 방호구역의 설정은 해당 장소의 바닥면적과 층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하나의 방호구역을 설정하는 기준은 바닥면적 3,000㎡ 이하로 하여야 하며, 두 개 이상의 층에 걸쳐서 적용하면 안된다. 즉 문제의 조건에 따라 층수과 면적을 살펴봐야 합니다. 나. 단서 조항 이 기준에는 별도의 단서가 있다. 1개 층에 설치되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수가 10개 이..

랙크식 창고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펌프와 부속설비) 창고의 구조 : 내화구조, 1동 4층, 각 층별 바닥면적 : 층별 바닥면적 : 900㎡ (가로 25m × 세로 36m) 각 층별 반자의 높이 : 15m 저장물품 및 저장용량 :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300,000kg 소화수조는 1층 펌프실에 설치, 펌프는 수조와 동일 선상에 설치 펌프의 계산상 전양정 : 80m (펌프 명판의 전양정 : 90m) 펌프의 계산상 정격토출량 : 2,400ℓ/min (펌프 명판의 정격토출량 : 3,000ℓ/min) 펌프의 정격토출압력과 체절압력 가. 펌프의 정격토출압력 문제의 조건에서 펌프의 계산상 전양정은 80m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펌프의 정격토출압력은 0.8Mpa 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설치된 펌프의 명..